%ec%bd%94%ea%b3%a8%ec%9d%b45

‘드르렁 드르렁’…휴가철 코골이에 주변사람 난감

%ec%bd%94%ea%b3%a8%ec%9d%b45
서울 강남의 한 벤처회사에 다니는 P씨(31·여)는 얼마 전 휴가지에서 겪은 민망한 일 때문에 출근조차 하고 싶지 않은 심정이다.

사내 하계 휴양 때 숙소에서 잠을 자다가 코를 심하게 골아 직장 동료들이 모두 잠에서 깨어 그녀를 노려보고 있었던 것. 이튿날부터 그녀는 혼자서 방을 따로 써야 했고, 회사 직원들 사이에 그녀는 드럼통이라는 별명까지 붙었다.

여러 사람이 모여 함께 자는일이 많은 휴가철, 코골이는 자신 뿐 아니라 함께 자는 사람들의 수면까지 방해해 휴가를 망치는 경우가 많다. 휴가철 잠자기 전에 술을 많이 마시면 기도의 점막이 붓고 점액의 분비가 늘어나 코와 목젖, 기도가 잘 막히게 되는데, 이로 인해 코골이가 더 심해질 수 있다.

코 고는 소리는 흔히 우스꽝스러워 단지 놀림감 정도로 치부되고 만다. 하지만 소홀히 여겨 치료시기를 늦추고 증상을 방치하면 단기적으로는 무기력감과 기억, 통찰력 등 학습력과 업무 능률저하를 불러오고 심하면 졸음운전을 야기, 교통사고의 주범이 되기도 한다.

코골이 증세가 지속되면 체내의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고 심하면 숨을 못 쉬는 무호흡증이 동반되기도 한다. 코를 골다가 숨이잠시 멈춰지는 ‘수면 무호흡증’은 숙면을 방해하는 정도가 아니라 고혈압, 부정맥, 관상동맥질환 등 다양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을 초래하거나 심지어 심장마비와 뇌졸증으로 인한 돌연사의 위험까지 높일 수 있어 증상이 나타나면 치료에 나서야 한다.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은 수면다원검사, 3D CT나 X-ray, 전자 내시경을 통해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수면다원검사로 호흡장애 여부 및 무호흡의 정도를 파악하고 3D CT검사로 기도의 모양과 크기를 분석한 후 가장 적합한 치료법을 선택한다.

치료법은 환자의 증상 정도에 따라 구강내 장치나 양압기 사용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법에서부터 심할 경우구개수구개인두 성형술과 이설근전진술, 양악전진술 등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기도 한다.

지앤지병원 수면클리닉 현도진 원장은 “코골이가 있다면 가급적 휴가지에서알코올 섭취와 과식을 피하고, 잠을 잘 때에도 옆으로 누워서 자게 되면 당장의코골이는완화시킬 수 있다”며 “이 방식은 근본적인 치료가 아니기 때문에 휴가 전후로 코골이의 심각성을 체감했다면 빠른 시일 내에 전문병원을 찾아 검사와 치료를 받는 것이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한 후차적인 질병을 예방하는 가장 빠른 지름길”이라고 설명했다.

 

<국민일보 기사 원문 보기>

%ec%bd%94%ea%b3%a8%ec%9d%b41

코골이, 수면무호흡증이 노화 재촉한다?

%ec%bd%94%ea%b3%a8%ec%9d%b41

“드르렁~푸~~……”, 35세 직장여성 김모씨는 몇 년째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앓고 있다. 수면무호흡은 수면 중 10초 이상 숨을 쉬지 않는 무호흡이 한 시간에 5회 이상 발생하는 질환이다.

수면무호흡으로 인해 심근경색, 뇌졸중과 같은 급성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수면무호흡이 노화까지 앞당긴다는 사실이 최근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지면서 코골이, 수면무호흡의 심각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최근 국내 한 연구팀은 45~72세 사이의 성인 381명(남 138명, 여 243명)을 대상으로 혈액에서 추출한 텔로미어의 길이와 수면 중 발생하는 호흡 및 심박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연구결과를 내놨다.

‘노화시계’로 불리는 텔로미어는 그리스어 ‘텔로스'(끝)와 ‘메로스'(부분)의 합성어로 세포분열이 지속적으로 생기는 염색체의 양 끝에 존재하며 DNA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젊은 사람의 경우 약 1만 개의 긴 텔로미어를 갖고 있지만 시간이 갈수록 끝마디부터 잘려나가 마지막 마디마저 다 없어지면 세포가 죽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가 죽는다는 것은 생체가 노화됨을 의미한다.

이번 연구에서 정상인의 텔로미어 길이가 2.5라면, 수면무호흡 환자는 1로 최대 60%나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수면무호흡으로 인한 산소결핍이 매일 반복됐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수면무호흡은 급노화를 초래하는 등 건강에 큰 위협이 되고 있어 증세가 있다면 하루빨리 전문병원을 찾아 수면다원검사부터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면단원검사는 수면 도중 발생하는 뇌파, 안구운동, 근육의 움직임, 입과 코를 통한 호흡, 흉부와 복부의 호흡 운동, 동맥혈 내 산소포화도, 심전도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해 수면의 전반적인 과정을 확인하는 검사다.

이 검사에서 시간당 10초 이상 호흡이 줄어들거나 멈춘 횟수가 5회 이상 관찰되면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된다. 검사를 통해 수면무호흡증이라는 진단이 나오면 증상의 정도에 따라 비수술적 치료법과 수술적 치료법을 고려할 수 있다.

지앤지병원 수면클리닉 현도진 원장은 ” 기도의 구조적인 문제로 생기는 코골이, 수면무호흡은 구강 내 장치나 양압기 사용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법에서부터 수술적 치료법까지 치료법들이 다양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수면 시 산소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건강상 문제가 없도록 하는 점”이라면서 “무조건적인 수술적 방법보다는 자신의 생활환경과 직업, 건강상태, 증상에 맞는 치료법을 찾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디지털타임스 기사 원문 보기>

%ec%bd%94%ea%b3%a8%ec%9d%b42

KBS1 교양프로 ‘황금연못’, 남편 코골이에 잠 못 드는 아내 사연 공개

%ec%bd%94%ea%b3%a8%ec%9d%b42
지난달 29일 방영된 KBS1 ‘시니어 토크쇼 황금연못’의 ‘황금나침반’ 코너에서는 코골이로 갈등을 겪고 있는 김범석손건영 부부의 사연이 소개됐다.

남편의 코골이를 견디다 못해 각방을 쓰자고 제안하는 아내와 부부관계의 단절을 의미하는 각방만은 안 된다는 남편의 주장이 팽팽히 맞섰다.

제작진이 촬영한 영상에서는 남편의 코골이 소리에 잠을 뒤척이는 아내와 어린 딸, 코골이 소리에 놀란 아들이 벽에 머리를 부딪히는 등 코골이 때문에 가족이 잠을 설치는 모습들이 공개됐다. 아침에 일어나도 매일 피곤한 남편, 낮 시간에 집안일과 육아를 혼자 감당해야 하지만 남편의 코골이로 계속되는 수면부족에 아내의 피로는 점점 쌓여만 갔다.

결국 서울 강남의 지앤지병원 수면클리닉을 찾은 부부, 먼저 수면다원검사로 코골이 상태를 진단했다. 남편 김범석 씨는 수면 중 93회 정도 잠에서 깼고, 잠을 자다 숨이 멈추는 수면무호흡증상까지 보였다.

지앤지병원 수면클리닉 현도진 원장은 “코골이 소리는 듣는 사람에 따라 주관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 어떤 사람은 충분히 감당할 수 있지만, 또 다른 사람에게는 각방을 써야 할 만큼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며 “코골이가 함께 자는 가족의 불면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코골이로 인해 부부가 각방을 써야 하는지에 대해 시니어 자문단은 ‘가족의 숙면을 방해하는 것은 고문 중의 고문이다’라며 찬성하는 의견과 ‘수면무호흡증인 남편을 위험하게 혼자 남겨두고 각방을 쓸 수는 없다’는 등의 반대 의견이 팽팽히 엇갈렸고, ‘베개를 바꾸는 등 아내가 적극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는 등의 해결책을 내놓기도 했다.

‘황금연못’은 역경의 세월을 살아온 대한민국 시니어들의 다양한 인생과 그 속에 녹아있는 삶의 지혜를 젊은 세대와 함께 나누며 진솔하고 유쾌한 삶의 이야기를 소통하는 신개념 토크쇼로 매주 토요일 오전 8시30분 방송된다.

 

<헤럴드 경제 기사 원문 보기>

%ec%bd%94%ea%b3%a8%ec%9d%b41

우울증 증상, 수면무호흡증이 원인?

%ec%bd%94%ea%b3%a8%ec%9d%b41

직장인 김모(45) 씨는 잠을 충분히 자도 매일 피로감과 낮시간 졸림, 집중력 저하 등으로 무기력한 일과를 이어오다 최근에는 심한 우울증까지 생겼다. 병원을 찾아 상담치료, 약물치료, 인지행동치료 등을 받았지만 우울증은 쉽사리 낫질 않았다. 그러다 아내의 권유로 코골이 치료를 받기 위해수면 클리닉을 찾은 김씨는 그제야 수면무호흡증이 우울증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최근 김 씨처럼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이 심하면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호주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대학의 데이비드 힐먼 박사 팀이 400여 명을 검사한 결과, 잠을 잘 때 심하게 코를 골다 간헐적으로 호흡이 끊기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이 있는 사람은 우울증이 나타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의 연구팀은 최근 남성 243명과 여성 183명 등 426명을 대상으로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정도를 측정했다. 이와 함께 표준 우울증 설문조사를 통해 우울증세가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했다.

그 결과 293명이 폐쇄성 수면무호흡으로 진단됐고 그중 73%인 213명에게 우울증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심한 사람일수록 우울증이 나타날 위험은 더욱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폐쇄성 수면무호흡에 의한 우울증은 코골이를 치료하면 사라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폐쇄성 수면무호흡으로 진단된 사람들에게 양압기 요법을 매일 밤 5시간씩 3개월 동안 계속하게 한 뒤 우울증 설문조사를 다시 시행했다.

그 결과 양압기 요법을 끝까지 계속한 228명은 우울증세가 현저히 줄어들었으며, 여전히 임상적 우울증으로 판단된 사람은 9명(4%)에 불과했다. 특히 우울증 검사에서 자해하거나 죽고 싶은 생각이 들 때가 있다고 대답했던 40여 명 모두 이런 느낌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앤지병원 수면클리닉 현도진 원장은 “수면무호흡증과 우울증의 연관성이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수면장애로 인한 스트레스, 저산소증으로 인한 뇌 손상 등이 원인일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우울증 치료를 받아도 효과가 없다면, 수면무호흡을 원인으로 의심해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우울증증상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뉴스1 기사 원문 보기>